데일리 팩트 (Daily Fact)

ISA 계좌와 연금계좌, 어떤 순서로 시작해야 유리할까? 본문

재테크·투자

ISA 계좌와 연금계좌, 어떤 순서로 시작해야 유리할까?

데일리고 (Daily Go) 2025. 9. 18. 17:51
반응형

ISA 절세혜택

절세 혜택 2배! ISA와 연금계좌 똑똑하게 병행하는 방법


ISA 세금관리

재테크의 핵심은 수익률보다 ‘세금 관리’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ISA 계좌와 연금계좌는 대표적인 절세 수단으로 많이 활용되는 금융상품입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건 바로 “둘 중 어떤 걸 먼저 시작해야 유리할까?” 하는 점이죠.
오늘은 ISA와 연금계좌의 차이부터 우선순위, 병행 전략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


ISA

✔ ISA 계좌와 연금계좌, 가장 큰 차이점은?

두 계좌 모두 절세 혜택은 있지만, 목적과 혜택 방식이 다릅니다.

항목 ISA 계좌 연금계좌
주요 목적 자산 통합 & 수익 절세 노후 준비 & 세액공제
납입 한도 연 2천만 원 (총 1억) 연 1,800만 원
세제 혜택 비과세 + 분리과세 세액공제 + 연금저율과세
인출 시점 3년 이후 자유 인출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

🔗 금융감독원 ISA 설명서 보기


ISA

✔ 어떤 계좌부터 시작해야 할까?

당신의 소득 수준, 세금 부담, 투자 기간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 소득이 많고 세금 부담이 크다 → 연금계좌 먼저! (세액공제 환급 효과↑)
  • 단기 자산 운용과 절세가 목적 → ISA 먼저! (3년 후 유연한 사용 가능)
  • 둘 다 가능한 예산이 있다 → 병행 투자! (절세 효과 2배)

ISA 시너지

✔ ISA와 연금계좌 병행 시 시너지 효과

ISA 만기 후 수익금을 연금계좌로 이전할 수 있다는 점, 알고 계셨나요?
이전한 금액은 연금계좌의 세액공제 한도에 포함되어 추가 절세가 가능해요.

예: ISA에서 3년간 ETF로 수익 → 수익금 연금계좌로 이체 → 세액공제 적용 →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 저율 과세

🔗 금융투자협회 절세전략 가이드 보기


ISA 세액공제

✔ 연금계좌의 세액공제,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연금계좌는 납입 금액의 최대 16.5%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총급여 기준 세액공제율 최대 세액공제액
5,500만 원 이하 16.5% 66만 원
초과 13.2% 52.8만 원

💡 연말정산 환급금으로 다시 투자 가능!
👉 홈택스 연금계좌 세액공제 계산기


연금계좌 이전

✔ ISA 만기 후 연금계좌 이전, 어떻게 하나요?

ISA 계좌가 만기되면 출금 OR 연금계좌 이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전 대상은 수익금에 한정되며, 사전 신청이 필요해요.
이전된 금액은 추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절세 효과가 강화됩니다.


계좌분산

✔ 병행 전략 예시: 연 3천만 원 투자자 기준

총 예산 3,000만 원이라면 아래와 같은 분산이 이상적입니다.

  • 연금계좌: 1,800만 원 (세액공제 극대화)
  • ISA 계좌: 1,200만 원 (수익 비과세 활용)

이렇게 하면 연말정산 환급 + 수익 비과세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어요.


✔ 단순한 절세를 넘어, 장기적 자산 설계로!

ISA는 단기 자산관리 + 절세,
연금계좌는 장기 노후자금 + 세금환급이라는 점에서
서로 다른 시점의 자산 목표를 채워주는 보완재입니다.

단순히 연말정산용이 아닌, 인생 전체의 자산 플랜으로 활용해보세요.

 

ISA 계좌 개설부터 절세 전략까지, 시작 전에 꼭 알아야 할 10가지

중개형 ISA 계좌 운용 전략, ETF부터 예금까지 분산 투자법 정리

ISA 계좌 해지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5가지 체크포인트

사회초년생을 위한 ISA 계좌 첫 가입 가이드

 

 

반응형